'공부법'에 해당되는 글 421건

  1. 2015.07.28 [전교1등 되고싶다면 기억해야 할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2. 2015.07.27 [우리가 몰랐던 파란펜의 숨겨진 효과]
  3. 2015.07.27 [여름방학 공부법]
  4. 2015.07.27 [방학때는 어떻게 공부할까요?]
  5. 2015.07.27 [하버드대학 도서관에 있는 30가지 명문]
  6. 2015.07.24 [교육부 지정 초등 영어회화 문장 100가지]
  7. 2015.07.24 [여러분의 흥미를 알아보는 테스트]
  8. 2015.07.24 [초등 학년별 추천 수학도서]
  9. 2015.07.24 [영어 속담 50가지]
  10. 2015.07.24 [영어듣기 공부사이트 모음]
  11. 2015.07.24 [예비 고1을 위한 공부법은?]
  12. 2015.07.23 [수학이 어려운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중학 수학 공부 방법]
  13. 2015.07.23 [초등학생때 공부는 어떻게 해야해요?]
  14. 2015.07.23 [초등학생 만점 공부 계획표 짜기]
  15. 2015.07.23 [수포자들을 위한 저학년공부법]
  16. 2015.07.23 [수능을 앞둔 고3들에게 추천하는 공부 방법]
  17. 2015.07.22 [학원에 안다니고 혼자 공부하는 법]
  18. 2015.07.22 [중학생 영어공부는 어떤식으로 해야하죠?]
  19. 2015.07.22 [중학생 공부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20. 2015.07.22 [수학포기자들을 위한 수학 공부방법]
  21. 2015.07.22 [중위권 학생들의 성적 올리는 방법]
  22. 2015.07.22 [우리가 한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
  23. 2015.07.22 [미래의 고3이 될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5가지]
  24. 2015.07.21 [일본의 슬로우 리딩 공부법]
  25. 2015.07.21 [이미지화 공부법으로 공부해보자.]
  26. 2015.07.21 [오늘의 공부명언2]
  27. 2015.07.21 [오늘의 공부명언]
  28. 2015.07.21 [시험 기간 중 전략 꿀팁]
  29. 2015.07.20 [공부 자극 명언들 좀 가지고 와봤습니다.]
  30. 2015.07.20 [공부합시다!! 공부 명언 모음]

[전교1등 되고싶다면 기억해야 할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우리가 몰랐던 파란펜의 숨겨진 효과]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여름방학 공부법]

공부법 2015. 7. 27. 16:23 |



[여름방학 공부법]


1.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꿈과 목표를 먼저 설정하라
자신만의 꿈과 목표를 설정하고, 공부를 왜 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동기와 목적을 설정한다. 꿈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공부를 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2. 세부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라
계획은 세분화하면 할수록 더 달성하기가 수월해진다. 생활패턴이 대부분 일주일 단위로 돌아가기 때문에 주간 계획표를 세워 실천해 나가는 것이 좋다. 학교 가는 시간, 학원 수업시간을 제외하고 온전히 혼자 자습할 수 있는 시간이 언제인지를 체크한다. 성적을 올려주는 시간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지, 수업을 받으면서 하는 공부가 성적을 올려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
한 시간 동안 할 공부 분량을 정해두었다면 그것을 또 쪼개는 것이 좋다. 가령 한 시간 동안 영어 문제 10개를 풀기로 했다면, 6분 동안 영어 한 문제를 완벽하게 마스터하겠다는 세부 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나씩 하나씩 목표를 달성하다 보면, 나름대로 성취감이 생기고 자신감도 쌓인다. 


3. 목표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실천 방안을 마련하라
이렇게 계획을 세웠다 해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신이 세운 계획을 잘 지키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라고 조언한다.(공부 인증샷이나 공부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웃님들~ 정말 잘 하고 계신 거예요. 대단대단bbb)


4. 입시는 열심히 하는 것보다 전략이 중요하다
입시에 실패하는 원인 중 하나는 공부를 열심히만 하는 것이다. 무조건 열심히 한다고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 열심히 하는 것보다는 공부 전략이 더 중요. 목표 대학을 정했다면 그 대학이 요구하는 전형에 맞게 맞춤 전략을 짜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리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라면 입시 구조에 대해 미리 알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5. 공부 습관은 중학교 때 완성하라
대학 입시는 이미 중학교 때 결정이 난다. 고등학교 1학년 첫 중간고사 때부터 입시는 이미 시작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학교 때 공부 습관을 길러놓아야 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시절에 학원에 중독된 학생은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모른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지 못한 학생은 고등학교에 올라가서 방황할 수밖에 없다. 그만큼 중학교 시절이 중요하고 중학교때부터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


6. 중학교 시기에 확고한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
대학 입시는 이미 중학교 때 판가름이 난다. 중학교 때 다양한 독서를 해야 하고, 자기주도학습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7. 국어 학습법
배우지 않은 내용을 읽고도 한눈에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 여름방학 때는 아직 배우지 않은 2학기 국어 교과서를 가지고 미리 훈련해보는 것도 좋다.


8. 영어 학습법
어느 정도의 대범함이 필요한 과목이다. 나무보다는 숲을 보는 능력을 기르고, 단어를 외울 때도 일단 끝까지 여러 번 반복해서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9.수학 학습법
단순 암기가 아닌 이해가 필요하다. 공부는 입력이지만 시험은 출력이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한 번 공부해서 습득한 내용을 끊임없이 출력하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익힌 개념에 대한 문제풀이를 반복 또 반복할 것.

출처:꿈꾸는 Min'sPouch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방학때는 어떻게 공부할까요?]

1) 학습 계획표를 짠다
방학을 맞이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계획표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때 너무 과도하고 두루뭉술한 목표는 좋지 않습니다. 수학을 마스터한다, 이런 계획표는 오히려 의지력을 없애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에 몇 문제 풀기. 하루에 몇 쪽 읽기. 밥 먹고 나서 영어 단어 몇 개 외우기 식으로 쉽게 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세요. 이걸 책상이나 벽에 잘 보이는 곳에 붙여놓는 게 좋습니다. 핸드폰에도 배경화면으로 해놓는 게 좋고요. 

2) 지난 학기 정리하기
지난 학기에 수학 점수가 낮았다면, 수학을 다시 정리해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개념을 먼저 정리해놓지 않고 내년 공부를 선행하는 건 무의미한 일입니다. 수학 같은 과목은 기초적인 개념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힘든 과목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학기 부족한 과목을 집중적으로 다시 한 번 복습해보세요. 그냥 한 번 쓱 보고 끝내는 게 아니라 개념 정리 노트처럼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완성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게 더 머릿속에 잘 들어오고 나중에 다시 개념 정리 노트만 볼 수 있기 때문이죠.(오답 노트를 만들 때도 자세한 풀이와 분석을 꼭 써야 합니다.) 

3) 다음 학기 예습하기
복습을 끝냈으면 그 다음은 당연히 예습입니다. 먼저 교과서 위주로 계획을 짜보고 문제집도 미리 구입해 둡니다. 문제집은 단 하나의 문제집으로 끝낸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보통 어떤 문제집이 좋냐는 질문이 많이 오는데, 유명한 문제집은 기본으로 하고, 서점에서 직접 자기가 보기에 괜찮은 난이도의 문제집 몇 개를 더 사서 2~3개는 기본으로 푼다는 생각을 가지세요.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집을 많이 풀어볼수록 시험 성적이 올라갑니다. 

4) 독서
학기 중에는 여러 가지 과제로 바빠서 책을 읽을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읽어야 할 책 읽기에도 바쁘고요. 물론 방학 중에도 학원 다니고 과외 하느라 시간이 많지 않겠지만, 그래도 방학 중에 집중해서 독서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이라면 부모가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독서를 꼭 단행본으로 제한하지 말고, 신문, 잡지 등 다양한 글을 읽으면서 독해력을 기르는 데 집중하세요. 방학 때 명작 영화를 교양으로 감상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대신에 책이든 영화든 기사든 읽고 나서 이를 분석하고 자기 생각을 적은 글을 꼭 남기도록 하세요. 

5) 도서관 나들이
방학 중에는 평소보다 더 도서관에 자주 가겠다는 목표를 정하고 실천하면 좋습니다. 학원 끝나고 들린다든지, 주말에 친구와 간다든지 하는 식으로 주기를 정해놓고 방문해보세요. 도서관에 있는 다양한 정보들은 교양을 향상시킵니다.

6) 독서실 활용하기
집에서 공부가 전혀 안 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집에는 몸이 편하고 놀 게 많기 때문이죠. 괜히 잡생각이 많이 들고요. 이럴 때, 독서실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집보다 집중도가 높은 공간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낯설어도 익숙해지면 공부가 훨씬 잘 되는 공간입니다. 방학 때 공부애 매진할 계획이라면 독서실을 끊고 제대로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하버드대학 도서관에 있는 30가지 명문]

01.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Sleep now, you will be dreaming, Study now, you will be achieving your dream.

02.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갈망하던 내일이다.
Today that you wasted is the tomorrow that a dying person wished to live.

03.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When you think you are slow, you are faster than ever.

04.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Don't postpone today's work to tomorrow.

05. 공부할 때의 고통은 잠깐이지만 못 배운 고통은 평생이다.
The pain of study is only for a moment,but the pain of not having studied is forever.

06. 공부는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노력이 부족한 것이다
In study, it's not the lack of time, but lack of effort.

07. 행복은 성적순이 아닐지 몰라도 성공은 성적순이다
Happiness is not proportional to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sucess is.

08.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인생의 전부도 아닌
공부 하나도 정복하지 못한다면 과연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Study is not everything in life, but if you are unable to conquer study that's only a part of life, what can you be able to achieve in life?

09. 피할 수 없는 고통은 즐겨라
You might as well enjoy the pain that you can not avoid.

10. 남보다 더 일찍 더 부지런히 노력해야 성공을 맛 볼 수 있다.
To taste success, you shall be earlier and more diligent.

11. 성공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철저한 자기 관리와 노력에서 비롯된다.
Success doesn't come to anyone,
but it comes to he self-controlled and the hard-working.

12. 시간은 멈추지 않고 간다.
The time never stops.

13. 지금 흘린 침은 내일 흘릴 눈물이 된다.
Saliva you drooled today will be tears falling tomorrow.

14. 개같이 공부해서 정승같이 놀자.
Study like a dog and play like a premier.

15. 최고를 추구하라. 최대한 노력하라.
그리고 최초에는 최고를 위한 최대의 노력을 위해 기도하라.
Pursue the top. The maximum endeavor.
And to the beginning for the effort of the maximum for a top intend.

16. 미래에 투자하는 사람은 현실에 충실한 사람이다.
A person who invest in tomorrow, is the person who is faithful to today.

17. 학벌이 돈이다.
The academic clique is money itself.

18. 오늘 보낸 하루는 내일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Today never returns again tomorrow.

19. 지금 이 순간에도 적들의 책장은 넘어가고 있다.
At this moment, your enemies books keep flipping.

20.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
No pains No gains.

21. 꿈이 바로 앞에 있는데 당신은 왜 팔을 뻗지 않는가.
Dream is just in front of you. Why not stretch your arm.

22. 눈이 감긴다면, 미래를 향한 눈도 감긴다.
If you close your eyes to the present, the eyes for the future close as well.

23. 졸지 말고 자라.
Sleep instead of dozing.

24. 성적은 투자한 시간의 절대량에 비례한다.
Academic achievemen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bsolute amount of time invested.

25. 가장 위대한 일은 남들이 자고 있을 때 이뤄진다.
Most great achievements happen while others are sleeping.

26. 지금 헛되이 보내는 이 시간이 시험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얼마나 절실하게
느껴지겠는가.
Just before the examination, how desperate would you feel the time you are wasting now.

27. 불가능이란 노력하지 않는 자의 변명이다.
Impossibility is the excuse made by the untried.

28. 노력의 대가는 이유 없이 사라지지 않는다.
오늘 걷지 않으면 내일은 뛰어야 한다.
The payoff of efforts never disappear without redemption.
If you don't walk today, you have to run tomorrow.

29.한 시간 더 공부하면 남편 얼굴이 바뀐다.
One more hour of study, you will have a better husband.

30.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To lose your health is to lose all of yourself. 

출처 : 행복人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교육부 지정 초등 영어회화 문장 100가지] 

1. 안녕하세요?(아침) Good morning.
2. 안녕하세요?(점심) Good afternoon.
3. 안녕하세요?(저녁) Good evening
4. 안녕 !(헤어질 때) Bye !
5. 안녕 ! ( 만났을 때) Hi!
6. 안돼 !(반대의 뜻) No !
7. 오, 맘소사! (이럴수가) Oh, my God !
8. 나중에 보자 (헤어질 때 인사) See you later.
9. 누구냐? Who are you ?
10. 죄송합니다. I'm sorry. 

11. 어떠세요? (기분이나 안부를 묻는 말) How are you?
12. 나는 좋아, 너는 어때?(11번 답변) I'm fine, and you?
13. 좋아, 고마워. Fine, thanks.
14. 매우 좋지 않아. Not very good.
15. 뭐라구? (무슨 소리냐?) What?
16. 내 이름은 헐렁입니다. My name is Hul-lung.
17. 이 사람들은 나의 가족입니다. This is my family.
18. 가족이라구 ! Family !
19. 안녕하세요, 선생님. Good morning , teacher .
20. 정말 귀엽구나 ! How cute ! / cute : (아이, 물건 따위가 예쁜, 귀여운) 

21. 너의 이름이 뭐냐?(선생이 학생에게) What's your name?
22. 나는 헐숙입니다. I'm Hul-sook.
23. 이것은 무엇이냐? What's this?
24. 이것은 연필이다. This is a pencil.
25. 이것은 지우개이다. This is an eraser.
26. 이것은 강아지이다. It's a dog.
27. 이것은 사과이다. It's an apple.
28. 이것은 상자이다. It's a box.
29. 그것은 장난감이야. It's a toy.
30. 아주 잘했어. Very good. 

31. 아주 아주 잘했어. Very very good.
32. 고마워.Thanks. ( thank 하나만을 사용할 적엔 습관적으로 s를 붙인다고 함)
33. 고마워 Thank you.
34. 안녕! 모두들 ! Hi ! Everybody !
35. 저를 도와주세요. Help me, please.
36. 정말? Really?
37. 좋아 ! O.K. (Okay의 준말, O를 강하게 발음)
38. 오! 아니야! Oh ! No !
39. 넌 틀렸어. You are wrong.
40. 네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냐? What do you like? 

41. 나는 축구가 좋아. I like soccur.
42. 나는 농구를 좋아한다. I like basketball.
43. 나는 럭비를 좋아한다. I like rugby.
44. 럭비? Rugby?
45. 예, 럭비를 좋아합니다. Yes, rugby.
46. 나는 태권도를 좋아합니다. I like tae kwon do.
47. 대단하구나! (여러가지운동을 좋아하니) That's great !
48. 아무 것도 없습니다(좋아하는 게) It's nothing.
49. 너는 소년이냐? ( 소녀가 말타기 하자고 할 때) Are you a boy?
50. 그래, 나는 소년이다. Yes, I am. 

51. 너는 소녀이다. You are a girl.
52. 예쁜 소녀? 누가? Pretty girl? Who?
53. 나 ! Me !
54. 너는 예쁜 소녀이다. You are a pretty girl.
55. 걱정마 ! Don't worry !
56. 너는 개를 좋아하니? Do you like a dog?
57. 응, 나는 좋아해.(56 답변) Yes, I do.
58. 어디서? Where?
59. 너는 고양이를 좋아하느냐? Do you like a cat?
60. 고양이? A cat? 

61. 그래, 고양이. Yes, a cat.
62. 오, 나는 고양이를 좋아해. Oh, I like a cat.
63. 너는 나를 좋아하느냐? Do you like me?
64. 나 !? Me !?
65. 아니 아니. 나 ! No no no. Me !
66. 너!? You !?
67. 나는 너를 좋아한다. I like you.
68. 와우! 정말? Oh! Really?
69. 나는 너를 좋아한다. I love you.
70. 너는 노래를 할 수 있느냐? Can you sing? 

71. 그래, 할 수 있어. Yes, I can.
72. 죄송합니다, 제가 늦었습니다. Sorry, I'm late.
73. 어니 가느냐? Where are you going?
74. 화장실(73답변) Washroom.
75. 선생님, 안녕!(헤어질 때) Good-bye, teacher.
76. 그만! Stop !
77. 조용하세요 ! Be quiet !
78. 오늘은 나의 생일이다. Today is my birthday.
79. 당신의 생일을 축하합니다! Happy birthday to you!
80. 생일 축하해. Happy birthday. 

81. 이제, 가자! Now, let's go !
82. 왜? Why?
83. 좋은 생각이야 ! Good idea!
84. 나 화난다. I'm angry.
85. 나 매우 매우 화난다. I'm very very angry.
86. 누구냐? (누가 밖에서 문을 두드릴 때) Who are you?
87. 천만에. (Thank you. 에 대한 대답) You are welcome.
88. 도와 줘 ! Help me !
89. 학교에 가자 ! Let's go to school !
90. 안녕! 나의 친구들아. Hello ! My friends. 

91. 학교에. (Where are you going?에 대한 답) To school.
92. 나를 따르라! Follow me !
93. 예, 대장님! Yes, Captian!
94. 나는 훌륭한 학생이다. I'm an excellent student.
95. 좋아! Right !
96. 정말 재미있다! How interesting!
97. 너 연필 가지고 있니? Do you have a pencil?
98. 응 연필 가지고 있어. Yes, I have a pencil.
99. 일어 나거라! (잠에서) Wake up ! / Get up !
100. 일어서! Stand up !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여러분의 흥미를 알아보는 테스트]

아래 30개의 보기가 있어요.각자 좋아하는 활동이 무엇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활동 번호를 적어두었다가, 카드 번호 별로 가장 많이 속하는 유형 2개를 결과보기에서 찾아보세요! 결과를 통해 스스로 어떤일에 흥미가 있는지, 무슨 일을 좋아하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보기]
1. 블록 놀이 2. 운동하기 3. 고장난 것 고치기 4. 과학상자 조립하기 5. 연장 다루기
6. 별 관측하기 7. 동식물 관찰하기 8. 발명하기 9. 문장으로 된 수학문제 풀기
10. 과학실험하기 11. 글쓰기(동화, 시) 12. 악기 연주하기 13. 노래하기
14. 춤추기 15. 그림그리기 16. 애완동물 돌보기 17. 사람들과 이야기하기
18. 친구고민 들어주기 19. 동생 공부 도와주기 20. 봉사활동 하기 
21. 어떤 사실에 대해 설명하기 22. 발표하기 23. 리더되기 24. 다른 사람 설득하기
25, 친구의 문제 해결해주기 26. 공책 정리하기 27. 정확히 계산하기
28. 용돈 기입장 쓰기 29. 스크랩북 만들기 30. 수집하기 

[결과]
◇ R : 현장형(뚝딱이) 1~5번
- 손재주가 있어 만들기를 좋아합니다.
활동적이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좋아합니다.
연장,기계와 같은 도구를 잘 다룹니다.
솔직하고 성실하며 수줍음이 많습니다.
(군인, 동물사육사, 운동선수, 요리사 등) 

◇ I : 탐구형(탐험이) 6~10번
- 세심히 관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합리적이며 정확한 것을 좋아합니다.
창의적으로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논리적,독립적이며 탐구심, 호기심이 많습니다.
(건축가, 곤충학자, 약사, 의사, 심리학자, 임상병리사,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 A : 예술형(멋쟁이) 11~15번
상상력과 감정이 풍부합니다.
자기만의 세계로 빠져드는 '상상하기'를 좋아합니다.
자신의 옷과 머리를 멋있게 꾸밀 수 있습니다.
국어, 음악, 미술 과목을 좋아합니다.
(마술사, 만화가, 연예인, 제과제빵사, 무대감독, 쇼핑호스트, 작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등) 

◇ S : 사회형(친절이) 16~20번
- 친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봉사하고,
협동하며 일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해심이 많고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입니다.
(간호사, 경찰관, 레크레이션지도사, 교사, 관광가이드, 사회복지사, 상담가 등) 

◇ E : 진취형(씩씩이) 21~25번
- 교실에서 주저함 없이 자기의견을 발표합니다.
친구를 설득하고 지도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사교적이고, 모험심이 강하며 친구들 앞에 앞장서는 지도자 역할을 좋아합니다.
(국회의원, 광고기획자, 기자, 동시통역사, 법조인, 영화감독, 아나운서, 판매원 등) 


◇ C : 관습형(성실이) 26~30
- 자신이 계획한대로 꾸준히 실천합니다.
공책에 기록, 정리하는 등의 꼼꼼한 일을 잘 합니다.
정직하고 계산하는 활동을 좋아합니다.
책임감이 강하며,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입니다.
(공무원, 공인회계사, 법무사, 은행원, 사서, 세무사, 전문비서, 의무기록사 등)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초등 학년별 추천 수학도서]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영어 속담 50가지]

공부법 2015. 7. 24. 17:32 |



[영어 속담 50가지] 

영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에는
단어,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일상의 말 속에서
자주 쓰는 속담도 그 중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죠?
여러분은 몇 번이 가장 공감이 가시나요? 저는 8번이 가장 공감이 가네요^^

1. A bad excuse is better than none. 형식뿐인 사과가(변명이) 안 하는 것보다 낫다.
2. A bad workman blames his tools. 서툰 장인(匠人), 연장 나무란다. 
(자신보다 남을 탓하는 경우에 쓰임.)
3. A burnt child dreads the fire. 데어 본 아이는 불을 무서워한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
4. A change is as good as a rest. 변화는 휴식만큼이나 좋다.
5. A drowning man will catch at a staw.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6. A final success will be made after repeated attempts.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7. A fool may make money, but it needs a wise man to spend it.
어리석은 사람도 돈을 벌수는 있지만 돈을 쓰는 데는 현명한 사람이 필요하다.
8.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어려울 때 친구가 진짜 친구다.
9. A good medicine tastes bitter. 몸에 좋은 약이 입에 쓰다.
10. A good tale is none the worse for being twice told. 좋은 이야기는 두 번 들으면 더 좋다.
* none the worse for ① (사고)를 당해도 태연하게 ② --으로 좋아져서
11. A good tongue is a good weapon. 말 한마디가 천 냥 빛 갚는다.
12. A guilty conscience needs no accuser.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conscience 양심 * accuser 고발인
13. A liar ought to have a good memory. 거짓말도 머리가 좋아야 한다. 
14. A little learning(or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 
조금 아는 학문은 위험하다.(선무당이 사람잡는다.)
15. A loaf of bread is better than the song of many birds. 금강산도 식후경.
16. A man is known by the company he keeps. 사람은 사귀는 친구로 알 수 있다.
17. A penny saved is a penny earned(= earned). 한 푼의 절약은 한 푼의 이득.
18.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한 장의 그림이 천 마디 말보다 가치가 있다. (백문이 불여 일견) 
19.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
① 직업을 자주 바꾸면 돈이 붙지 않는다. ② 활동적인 사람은 언제나 청신(淸新)하다.
20. A small leak will sink a great ship. 작은 누수가 큰배를 침몰시킨다.
21. A smart coat is a good letter of introduction. 옷이 날개.
22. A stitch in time saves nine. 제 때의 한 땀은 나중의 아홉 땀을 덜어준다.
23. A strong town is not won in an hour. 
강한 마을은 한 시간 만에 얻어지지 않는다. (큰일은 시간이 걸린다.)
24. A tale never loses in the telling. 말은 되풀이되면서 커지기 마련이다.
25. A watched pot never boils. 
기다리는 시간은 긴 법이다.(서둔다고 일이 되는 것은 아니다.) * boil 끓다
26. A wonder lasts but nine days. 떠들썩한 일도 곧 잊혀진다.(남의 말도 3일이다.)
27. A word to the wise is sufficient. 현자는 하나를 알려주면 둘을 안다.
28. Absence makes the heart grow fonder. 떨어져 있으면 더욱 그립다. 
29. Accidents will happen. 사고는 일어나기 마련이다.
30. After a storm comes a calm.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 고진감래(苦盡甘來)
31. After death, to call the doctor. 죽고 난 후 의사 부르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32. "After you" is good manners. 양보하는 것이 좋은 예절이다.
33. All's fair in love and war. 사랑과 전쟁은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
34. All good things must come to an end. 좋은 일은 다 끝이 있는 법.
35.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번쩍이는 것이 모두 다 금은 아니다. 
(외관은 믿을 것이 못된다.)
36. All's well that ends well. 끝이 좋으면 모두가 좋다.
37. All truth are not to be told. 진실이라고 모든 것을 다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38.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공부(일)만하고 놀지 않으면 우둔해진다. 
(놀 때 잘 놀고 일할 때 일을 잘해라.)
39. An apple a day keeps the doctor away. 하루 한 알의 사과는 의사를 멀리 한다. 
40. An eagle does not catch flies. 독수리는 파리를 잡지 않는다.
(진정한 강자는 약자를 괴롭히지 않는다.)
41. An eye for an eye. 눈에는 눈(같은 수단(방법)으로 보복한다는 뜻)
42. An ounce of discretion is worth a pound of learning. 신중함이 학문(지식)보다 더 낫다.
43. Any stick will serve to beat a dog. 어떤 것이라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44. Art is long, life is short.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45. As long as there is life, there is hope. 생명이 있는 한 희망이 있다.
46. As the boy, so the man. 아이 적 그대로 어른이 된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47. As the old cock crows, the young cock learns. 부모가 하는 일은 아이들이 흉내낸다.
48. As you make your bed, so you must lie in it. 자업 자득.
= One must lie in(on) the bed one has made.
49. As you sow, so shall you reap. 뿌린 대로 거둘 것이다. (인과 응보)
50. At every hour death is near. 언제든지 죽음이 가까이 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영어듣기 공부사이트 모음] 

CNN 뉴스 듣기를 하면서 영어 공부를 할 수 있는 YBM시사닷컴
http://cnn.ybmsisa.com 

팝송을 따라 부르면서 받아쓰기를 할 수 있는 Lyrics Training
http://lyricstraining.com 

미국 경제전문 뉴스통신사 방송을 실시간으로 보자 Bloomberg TV
http://www.bloomberg.com/tv 

미국 정부 활동과 공공 이슈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실시간 TV C-SPAN
http://www.c-span.org/live 

영어 오디오북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Books Should Be Free
http://www.booksshouldbefree.com 

미국 CNN 방송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WePlayLive 사이트
http://weplaylive.tv/international-stream 

유투브 동영상으로 영어공부를 즐길 수 있는 ESL Video
http://www.eslvideo.com 

영어 명연설 MP3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American Rhetoric
http://www.americanrhetoric.com 

영어 소설 오디오북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Voices in the Dark
http://voicesinthedark.com 

수준높은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사이트 http://NPR.org
http://www.npr.org 

영어 교사가 운영하는 영어듣기 연습 사이트 ESL Cyber Listening Lab
http://www.esl-lab.com 

CNN 방송을 무료로 볼 수 있는 CNN Video
http://edition.cnn.com/video 

15분짜리 영어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는 Spotlight Radio 사이트
http://www.spotlightradio.net 

고급 영어 표현을 익힐 수 있는 TED 동영상 강의 사이트
http://www.ted.com 

유명 문학 작품의 영어 오디오북을 무료로 제공하는 http://LoudLit.org
http://www.loudlit.org 

난이도별 영어 받아쓰기를 연습할 수 있는 Listen and Write 사이트
http://www.listen-and-write.com 

출처 : 픽토리얼랩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예비 고1을 위한 공부법은?]

중학교 공부와 고등학교 공부간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리 중학교때 공부를 잘했다 하더라도, 고등학교에 와서는 성적이 영 안나올 수 있습니다. 그만큼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공부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이죠. 그 차이는 뭘까요? 

첫번째, 수학과 과학의 분량과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수학은 입시를 좌우하고, 영어는 인생을 좌우한다는 말이 있죠? 
이처럼 고등학교 공부에서 수학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학생간 편차의 주요 원인도 수학입니다. 
중학교 우등생이 영어, 국어, 사회 같은 과목을 
갑자기 고등학교 때 못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수학/과학은 다릅니다. 

배울 분량이 많아서 진도 따라가기도 바쁘고 공부 내용도 어려우며, 
문제의 종류나 난이도는 훨씬 더 다양합니다. 
중학교 때는 문제 많이 풀고, 공식 몇 개만 암기해도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지만, 그러나 고등학교때는 이게 안 통합니다. 특히나 수학/과학에 투자할 공부시간이 늘어나면서 다른 과목 공부할 시간도 부족해집니다. 
결과적으로 수학/과학을 못 따라가면 다른 과목도 동반 하락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많은 분량과 높은 난이도의 고교 수학/과학을 
소화할 수 있는 사고력, 전략과 공부법을 갖추었느냐가 고교 생활의 성패를 
좌우한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문과 쪽의 고교 학습 충격이 덜한 것도 바로 
수학/과학을 적게 다루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공부가 필요하게 된다. 
어른들은 이해를, 학생들은 암기를 잘 한다는 말이 있지요? 
이해란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 
그만큼 기존의 경험과 지식, 그리고 사고력이 새로운 이해를 돕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은 보통 이해를 어려워하고 무슨말인지 모르면서 덮어놓고 
암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행히도 중학교 때까지는 암기만으로도 통합니다. 
수학과목 역시 중학교 때에는 암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등학교 공부는 이해가 동반되지 않고서는 
새로운 유형이나 응용된 것을 풀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적응력을 기르려면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세번째, 중학교 공부는 단거리, 고등학교 공부는 장거리 마라톤이다. 
흔히 중고등학교 공부를 단거리, 장거리 달리기에 비유합니다. 
이것은 중학교과 고등학교 공부에 필요한 힘과 근육이 서로 다르다는 뜻입니다. 
중학교 공부는 순간적이고 폭발적인 집중력으로 
얼마든지 정복할 수 있습니다. 
2~3주만 죽어라 공부하면 시험 성적은 금방 오릅니다. 
반대로 조금만 놀면 바로 결과에서 티가 팍팍 나게됩니다. 
반면 고등학교 공부는 2~3주 죽어라 해봐야 좌절감만 듭니다. 
왜냐하면 시험 보면 성적엔 별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고등학교 때는 적어도 6개월 정도 죽어라 해야 그 다음 6개월동안 효과가 나오게 됩니다. 반대로 6개월 정도 놀아도 별 티가 나지 않다가 
그 다음 6개월 동안 봇물터진듯 정신없이 성적이 하락합니다. 
일종의 시간차(time lag)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중학교때 공부하던 식으로 반짝 몰아쳐서는 우등생이 될 수 없습니다. 
특히 수능과 논술은 하루 아침에 정복되지 않습니다. 
3년 동안 꾸준히 준비하여 근육을 만들고 
거기에 맞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지구력과 
쉽게 포기하지 않는 정신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수학이 어려운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중학 수학 공부 방법]


1) 자신의 수학 실력과 수준을 파악하고 맞는 문제집을 고른다.

자신이 평소에 받는 수학 점수에 연연하지 말고, 스스로 느끼기에 혹은 주변의 선생님이나 멘토가 생각하기에
'냉정하게 나의 수학 수준은 이 정도 레벨이다'싶은 것에 맞추어서 수준별 문제집을 고릅니다.
이 문제집으로 평소 학교 진도보다 소단원 1개 정도 앞서서 미리 예습을 하고
학교 수업을 통해서는 예습 때 보았던 개념을 다시 찬찬히 되짚는 방식으로 공부하세요.
학교 수업 후에는 교과서와 익힘책을 한 번 본 후, 자신의 수준보다 한 단계 위의 문제집을 풀면서 복습을 하면 효과적입니다.

2) 내신관리는 성실함이다!

내신관리란 위에서 말한 예습-학교 수업-복습을 철저히 지키는 것입니다. 특히 이 중에서도 복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평소 학교 수업 후에는 반드시 교과서+익힘책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문제들을 한 번 더 풀어봅니다.
그 후에는 한 단계 위의 문제집으로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을 풀면서 활용 능력, 계산 연습 등을 합니다.
수학은 매일 1시간이라도 꾸준히 공부를 해서 한꺼번에 몰아서 공부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시험 전에는 다른 문제집보다 교과서+익힘책을 세 번 이상 풀어보아야합니다.
처음 풀 때는 앞서 말한 것처럼 학교 수업 후 바로 풀어보고 틀린 문제를 체크해둡니다.
두 번째 풀 때는 체크된 틀린 문제만 오답노트에 정리합니다.
세 번째 풀 때는 오답노트에 정리된 문제만 답을 가리고 풀어보고, 중단원과 대단원은 시간을 정해서 한 번 더 풀어봅니다.


3) 오답노트는 대단원 별로 만들어서 3년 동안 보관한다.

오답노트를 잘 만들어 놓아야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고, 중요한 문제를 오래 기억할 수 있겠죠?
그러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대단원 별로 오답노트를 따로 만들어서 3년 동안 쓰는 것입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오답노트는 시험기간에 효율적인 공부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대단원 별로 오답노트를 정리해놓으면, 고등학교 입학 전 중 3 겨울방학 때 최종 복습으로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이 되기 전에 제일 좋은 선행학습이 될 것이며, 고 1 모의고사를 대비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초등학생때 공부는 어떻게 해야해요?]


1. 계획 세우기
특히 예비 중학생들에겐 매우 중요한 시기가 가을, 겨울입니다.
따라서 조금 버거울지도 모르겠지만, 서점에 들러 중학교 1학년 관련
서적이나 문제집을 하나 구입해 보고 어떤 식으로 수업이 진행되는지,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감을 익히시길 바랍니다. 또 본인이 목표하는 바가 있을 텐데요.
그 목표를 위해 어떤 공부법이 좋을지 미리 계획을 잡아 보세요. 첫 계획을
잘 세워야 그 다음도 술술 풀린답니다. 주위에 중학생인
언니 오빠 누나 형들이 있으면 도움을 받는 것도 좋겠죠!


2. 다른 사람의 공부 잘하는 방법을 알아 본다

누군가를 꼭 따라할 필요는 없지만, 나보다 앞서간 사람의
공부 잘하는 방법이나 성적향상수기를 읽어 보며 팁을 얻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됩니다. 그러므로 인터넷이나 서적을 통해 특별한 초등학생 공부법,
중학생 공부법 등을 한번 찾아 보세요.


3. 독서 습관을 기르자

독서는 매우 중요하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공부 잘하는 방법에도
빠지지 않고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 미리미리 습관들여 놓는 것이
좋아요~! 독서는 초등학생이 읽으면 좋은 책, 중학생이 읽으면 좋은책 위주로
읽어 보세요. 물론 다독을 하는 것이 좋지만 그 나이대에 반드시 읽어야
할 책들이 있으므로 그 책들을 먼저 한번 쭉 읽어 두는게 좋아요. 이런
것들은 교과서 지문에도 등장하고, 시험에도 종종 등장하거든요!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초등학생 만점 공부 계획표 짜기] 


1. 먼저 공부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학교숙제와 학원숙제·독서같이 매일 해야 하는 공부 가운데 학교숙제를 가장 우선으로 잡는다. 다음 중요도와 정해진 기한에 따라 학원 숙제를, 특별히 기한이 정해져 있지 않은 독서·신문스크랩 등을 뒤에 배치한다. 이렇게 순서대로 공부하면 나중에 꼭 필요한 공부를 못해 허둥대는 일을 막을 수 있다.


2. 우선순위가 정해진 뒤, 나만의 주간 및 일일계획표를 짜기

주간계획표에는 공부와 관련된 계획만, 일일계획표에는 기본적 생활습관과 공부계획을 함께 짜서 시간관리를 하는 것이 핵심이다. 주간계획표는 매일 한 과목씩 집중해서 스스로 공부할 과목을 일주일 단위로 분배한다. 예컨대 월요일에 사회를 공부한다면 화요일에는 과학을 공부하는 식이다. 과목을 정한 뒤엔 어떤 단원을 어떤 교재로 공부하겠다는 상세계획을 적어본다.

일일계획표는 하루 공부를 마치고 잠들기 전 다음날 꼭 해야 할 학습내용을 생각하며 매일 짠다. 오늘 공부한 양에 따라 다음날 공부가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계획은‘영어문장 10개 외우기’처럼 구체적으로 짠다. 


3. 공부 환경 정돈하기 

공부계획을 실천하기 위해선 잘 정돈된 환경이 필요하다. 신체적·심리적으로 공부를 방해하는 원인을 하나씩 적어본다. 방이 너무 덥거나 춥지는 않은지, 잠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점검하다보면 신체적 훼방 요소들을 찾아낼 수 있다.


주의할점! 

학원수업과 인터넷 때문에 수면사이클이 일정하지 않아 책상에 앉기 전에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고, 잠은 반드시 규칙적으로 ! 휴대전화와 컴퓨터·텔레비전은 심리적으로 공부를 방해하는 1순위. 공부와 관련된 것들 외에는 모두 방에서 치운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수포자들을 위한 저학년공부법]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수능을 앞둔 고3들에게 추천하는 공부 방법]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학원에 안다니고 혼자 공부하는 법]


1. 영어 - 자기 취향에 맞는 접근 방법을 가져라

많은 예비중학생을 포함한 중학생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과목이 바로 영어입니다. 모든 과목이 그렇지만 영어는 ‘재미’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단어를 꾸준히 외우세요. 그리고 학교수업에서 꼭 예습을 해가세요. 예습을 해가면 학교수업시간에 아는 내용이 나오고, 그러다 보면 재미가 있답니다.

“리스닝 교재와 단어집을 구입하여 꾸준히 풀어나가야 한다”
“영어에 흥미을 가지려면 자기 취향에 맞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여학생의 경우 미드(미국 드라마)나 자기가 좋아하는 영화를 자막없이 보는 방법도 좋다”

전문가들은 학교 교과서외에 다양한 자료를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학원을 다니지 않고 공부를 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문제집과 신문, 음악, 영화등을 망라하여 공부하여야 영어의 수준이 높아지는 고등학교에서도 어렵지 않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2. 수학 - 개념을 이해하고, 쉬운 문제부터 조금씩 접근

수학은 주요한 개념의 정의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고, 그림을 그려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념정리를 한 후에는 쉬운 문제를 중심으로 많은 유형을 느끼는 것이 중요 하다고 하네요. 개념을 반복해서 풀다보면 주요한 수학 ‘공식’이 나오는 데요. 이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공부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

“노트에 주요공식을 붙여놓고, 매일 한번 씩 외워야한다”

투탑이나 우공비 완자와 같은 문제집을 여러번 풀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일적으로 개념을 잡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됩니다. 수학은 혼자 공부하다 보면 내 실력이 어느정도 되는지 비교하기 어려우니까, 학교선생님이나 주변 친구들 중에서 질문할 상대를 꼭 만드셔서, 모르는 것에 대해 넘어가지 마시고 질문을 많이 하시기 바랍니다.


3. 국어 - 용어 정리 하기, 많이 읽기, 핵심주제 찾기가 중요

“국어공부는 크게 3가지만 하면 된다”

첫번째로 이만기 선생님이 제시한 국어공부 방법은 <용어를 정리해라>입니다. 이 선생님은 “중위권 학생들의 경우 장르별 용어를 몰라서 문제를 틀리는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시, 소설, 수필 등 각 분야의 용어를 정리하면 성적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로 제시한 국어공부 방법은 “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학작품을 많이 읽고, 주제 등을 정리해 두라”고 권고했습니다. 

끝으로 제시한 국어공부 방법은 “비문학의 경우 신문사설이나 칼럼등을 가리지 말고 읽으면서 핵심주제를 찾는 연습을 많이 해보라.” 고 의견을 밝히셨습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중학생 영어공부는 어떤식으로 해야하죠?]


*장기적은 영어공부계획을 세우자

공부를 할때도 분명히 계획이 필요합니다. 기초부터 문법,독해 등 장기적인 로드맵을 확립시킨다음 영어공부를 하게되면 어떠한 어려운 문제가 나와도 핵심을 알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답을 찾을수 있게 됩니다.


*문법이 정답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수능시험에 나오는 영어 유형을 보자면 문법보다는 독해에 더많은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지금도 문법공부에 힘을 쓰고 있다니..참으로 아이러니한 상황이죠. 물론 한글과 영어의 문장구조가 틀리기 때문에 기본적인 문법공부가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독해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현재 중학교 내신시험과 수능시험에 있어서 목적에 합당한지 객관적으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절대 문법만이 수능의 답이 아니라는점 꼭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내신영어는 수능영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중학교,고등학교 내신영어(문법)는 실제 수능영어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상황이라면 내신공부라고 해서 따로 공부하는 것보다는 독해공부를 해나가다보면 자연스럽게 내신영어도 잡을수 있기 때문에 영어독해와 일반영어공부에 집중하는 것이 지금의 영어공부방법이라 할수 있습니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중학생 공부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수업시간에 집중 --

초등학교 수준에 비하면 조금 더 심도있고 전문적인 내용을 배우기때문에 지루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수업시간이 지루하고 재미없다고해서 수업시간에 집중한다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중학생 공부잘하는법의 기본 중 기본은 수업시간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수업시간에 집중할 수 있어야 여러분이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공부에 흥미를 붙일 수 있습니다 ^^


-- 자습시간 갖기 --
본인의 것으로 만드는 시간이 필요한데요~!

중학교 공부잘하는법 중 하나는 바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습시간을 갖는 것 입니다 ~!

중학교는 수업이 4시 이전에는 끝나기때문에 적어도 집에서 하루에 2시간정도는 자습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자습시간을 통해서 본인이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할 수도 있고, 미리 예습을 할 수도 있습니다 ! 복습을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시험기간에 여러분의 기억을 되살리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그때부턴 성적을 올리는 것은 시간 문제이겠지요 ^^


- 선행학습 하기 --

중요한 것이 선행학습을 해주는 것 입니다 ! 특히나 수학과 영어의 경우 중학교 때 감을 잡아놓으면 고등학교에 올라가서 새로운 내용을 배운다 하더라도 공부를 해본 경험이 있기때문에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

선행학습은 수업시간에 배우는 내용보다 1~2단원 더 빨리 공부를 하는것이 좋은데요 . 이렇게 미리 선행학습을 한다면 다른 학생들보다 적어도 한번은 더 공부하는 것이기때문에 수업시간에 더 쉽게 이해를 할 수도 있고, 더 많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기에 여러분의 성적을 올리는데 도움을 줍니다 ^^

중학교 공부잘하는법! 선행학습이 그중 한가지라는 사실 ~! 


-- 공부하는 습관 --

공부잘하는 학생들은 아무리 놀더라도 공부를 해야 할 때에는 집중해서 오랜시간동안 책상에 앉아있을 수 있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공부하는 습관이 몸에 베여있기때문에 언제라도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것 이지요 ~

이러한 습관은 하루아침에 생기진 않습니다. 우선은 책상에 앉아있는 것부터 연습을 하는 것이 좋겠지요. 책상에 앉아서 공부가 안된다하더라도 책을 읽으려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그러한 시간에 30분에서 1시간으로 1시간에서 1시간30분 그리고 2시간 !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한다면 언젠간 여러분도 공부하는 습관을 가지게됩니다~

좋은 습관이지 않을까요~? 중학교 공부잘하는법 ! 공부하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수학포기자들을 위한 수학 공부방법]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중위권 학생들의 성적 올리는 방법]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우리가 한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

 

 



TV속 드라마나 영화에서 역사를 소재로한 것들이 굉장히 많은데요,
사실 이 모든 것들은 픽션이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믿어서는 안됩니다.
잘 모르는 학생들은 진짜라고 믿기도 한다더라구요...
그래서 우리가 한국사를 배워야 합니다!! 우리나라 역사정도는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지 않겠어요?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미래의 고3이 될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5가지]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일본의 슬로우 리딩 공부법]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이미지화 공부법으로 공부해보자.]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오늘의 공부명언2]

공부법 2015. 7. 21. 10:59 |

[오늘의 공부명언2]

 

 

 

 

 

 

 

 

 



공부는 자신과의 싸움이고, 항상 힘들고 지치는 싸움이죠. 그럴 때 마다 공부명언을 한번씩 생각해보고 마음을 다 잡도록 하세요!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오늘의 공부명언]

공부법 2015. 7. 21. 10:55 |

[오늘의 공부명언]

 



항상 마음에 이 말들을 새기고 공부하세요, 공부가 지치고 힘이 들때 많은 위로와 용기를 줄거에요!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시험 기간 중 전략 꿀팁]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공부명언2]  (0) 2015.07.21
[오늘의 공부명언]  (0) 2015.07.21
[공부 자극 명언들 좀 가지고 와봤습니다.]  (0) 2015.07.20
[공부합시다!! 공부 명언 모음]  (0) 2015.07.20
[파란펜 공부법]  (0) 2015.07.20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공부 자극 명언들 좀 가지고 와봤습니다.]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공부명언]  (0) 2015.07.21
[시험 기간 중 전략 꿀팁]  (0) 2015.07.21
[공부합시다!! 공부 명언 모음]  (0) 2015.07.20
[파란펜 공부법]  (0) 2015.07.20
[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는 공부 방법은?]  (0) 2015.07.20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



[공부합시다!! 공부 명언 모음]


1.굳은 결심은 가장 유용한 지식이다.-나폴레옹

2.10분 뒤와 10년 후를 동시에 생각하라.-피터 드러커

3.성공을 확신하는 것이 성공에의 첫걸음이다.-로버트 슐러

4.사람은 스스로 운명을 만든다.-세네카

5.일을 하는데 있어서 언제 시작할까 생각하는 것은 그만큼 떄를 늦추는 것이다.-칼라일

6.자신이 있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없기 떄문에 자신감을 얻기 위해 행동하는 것이다.

7.실패란 보다 현명하게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다.-헨리 포드

8.어떤 문제이든 불가능이 아니라 가능을 염두에 두고 고려하라.

9.고뇌에 지는 것은 수치가 아니다. 쾌락에 지는 것이야말로 수치다.-파스칼

10.늦게 시작하는 것을 두려워 말고, 하다 중단하는 것을 두려워하라.-중국속담

11.희망은 언제나 힘든 언덕길 너머에서 기다리고 있다.

12.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행동이다.-브론테

13.인간이 뜻을 세우는데 있어서 늦은 떄는 없다.-볼드윈

14.고통을 주지 않는 것은 쾌락도 주지 않는다.-몽테뉴

15.중요한 것은 어디에 있느냐가 아니라 어디로 움직이느냐 이다.


Posted by 스토리 매니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