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력 향상 방법]
공부법 2015. 11. 27. 18:15 |[집중력 향상 방법]
1. 집중력과 그 중요성
① 공부에서 집중력은 오직 공부 그 자체에만 온 정신과 신경을 쓰는 것이다.
② 성적이 상위냐 하위냐를 결정 짓는 것이 집중력이다.
③ 집중력을 키우는 것은 자기 스스로의 적극적인 노력이 좌우한다.
④ 집중력을 키우기 위해 자신의 집중력 방해 요건을 정리해서 제거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TV또는 가족 관계, 컴퓨터, 공부 방위치, 친구, 자신의 성격이나 관심분야 등등
자신이 공부하는데 필요한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가 찾아내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노력을 말하는 것이다.
⑤ 집중을 하지 않고 공부하는 것은 공부가 아니라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다.
⑥ 긴 시간의 공부보다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력을 갖고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⑦ 학습 계획 작성 시 내용 중심 계획표를 작성하는 것이 짧은 시간에 집중력을 갖고 공부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2. 책상 위를 정리하는 요령
① 그 시간에 공부하는데 최소한으로 필요한 것을 책상 위에 놓는다.
② 책상 위의 인형, 시계, 잡다한 학용품, 스타 사진 등 정신을 집중하는데 방해되는 모든 것을 치운다.
③ 공부에 필요한 것을 사용했으면 그때그때 치워가면서 공부한다.
④ 책상 앞 벽에도 잡다한 것을 붙여 놓아 정신 집중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3. 공부와 잠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하루에 6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다.
피곤하여 졸리면 억지로 참는 것보다는 1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잠을 자고 나서 정신을 집중하여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성적은 몇 시간 동안 공부 했느냐의 양 보다 무엇을 얼마나 했느냐의 질이 좌우한다.
따라서 졸리운 상태에서의 공부는 효과가 없다. 자신의 신체리듬에 맞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라.
*활용 방안
책상 위는 깨끗이 정리하고 꼭 필요한 물건만 올려 놓는다.
(필기 도구, 만화책, 여러 가지 교과서 등이 책상 위에 흐트러져 있으면 정신이 산만해지기 쉽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 1∼2분 동안 시각·청각을 이용해 정신 집중 훈련을 해본다.
머릿속으로 간단한 도형을 그려 본다.
(우선 공중에 하나의 점을 그린다. → 점 이외의 것은 일체 생각하지 않는다. → 이 점을 연장시켜 일직선으로 만들어 본다. → 익숙해지면 별과 같은 간단한 도형을 그려본다. → 매일 조금씩 복잡한 도형을 만들어 본다.)
눈을 감고 길게 심호흡을 한다.
(자율 신경의 활동으로 인해 정신이 맑아져 집중력이 강화된다.)
먼저 높고 큰 목표를 세운 후 세부적인 목표를 세워 하나씩 달성해가면서 성취감을 맛본다.
(ex: 10분 동안 몇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마음속으로 생각하며 게임 하는 기분으로 공부한다).
좋아하는 과목부터 시작해 공부에 흥미를 키우고 그 후 싫어하는 과목에 도전해 본다.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한다. 적절한 휴식을 통해 기분을 새로이한다.
평소 클래식이나 조용한 음악을 들으며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다.
친구의 방법을 물어 보는 등 서로 대화를 통해 마음을 가볍게 갖는다.
손가락을 움직이며 공부하는 것도 기분을 돋우는 데 도움이 된다.
▷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공부방 분위기 ◁
① 책상
책상 위에는 꼭 필요한 것만 올려 놓는다. 서랍은 빈 상자를 이용해 잘 정리해 둔다.
② 의자
너무 딱딱하면 엉덩이가 아프고 허리도 불편하므로 푹신한 방석을 깔아 놓는다.
③ 조명
방안 전체 조명은 약하게 하고 책상 위의 스탠드 조명은 강하게 한다.
④ 메모판
책상 옆의 벽에 작은 메모판을 걸어 놓고 학습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적어 놓는다. 한눈에 잘 나타나, 계획적으로 공부하기 좋다.
⑤ 시계
의자에 앉았을 때 눈에 가장 잘 띄는 장소에 둔다.
⑥ 그림
푸른 숲이나 호수 풍경의 그림은 기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자기가 존경하는 인물의 사진을 붙여 놓는 것도 좋다.
⑦ 바람직한 공부 자세 엉덩이를 의자에 바싹대고 허리를 반듯하게 편다. 공부할 때는 책을 눈으로부터 30cm정도 떨어진 위치에 놓는다.
ㆍ우선 집중이 되지 않는 이유를 따져봐야 한다.
ㆍTV나 라디오 때문에 주변이너무 소란스럽다면 스위치를 끄거나 다른 조용한 곳으로 옮긴다.
ㆍ개방된 공간보다는 폐쇄된 공간이 집중이 잘된다.
ㆍ또 개인마다 집중이 잘되는 시간대가 있는데 이 시간을 학습에 최대한 잘 활용한다.
ㆍ잡념이 생기면 간단한 맨손체조를 하거나 세면으로 기분전환을 하는 것도 좋다.
ㆍ학습목표를 명확히 세우는 것도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ㆍ'이 단원까지만 공부하고 쉬어야겠다'는 식으로 자기보상을 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ㆍ 책상에는 만화책이나 연예인 사진같이 공부에 방해되는 물건을 두지 않고
ㆍ학습 준비물은 한번에 완전히 챙겨 한번 앉은 책상에서 자주 들락날락하지 않는다.
ㆍ마음의 고민 등 심리적인 영향으로 집중이 어려운 경우는 달리 해결 방법이 없다.
ㆍ부모나 교사들과 터놓고 이야기해서 고민을 해결하는 것이 상책이다.
4. 쾌적한 공부방 상태
① 공부방 안 온도는 18℃∼20℃정도가 적당하다.
② 공부방은 자주 환기를 시켜 주어야 한다. 신선한 공기가 방안 가득할 때 두뇌 활동이 왕성하여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5. 학생들의 핸드폰에 대하여
①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신종 집중력 방해 제품이다.
② 핸드폰은 우정을 나누는 도구의 기능보다는 공부하는데 정신 집중을 빼앗아 가는 역기능이 훨씬 더 크다.
③ 핸드폰은 통신비용의 과소비를 가져온다.
④ 우리나라 학생들의 핸드폰 사용 문화는 통신 사업자들의 장사 속에 원인이 있다.
⑤ 핸드폰을 사용하는 학생은 상대적으로 전화를 사용하는 회수가 빈번해지고 매우 길어진다.
6. 아침식사의 중요성
① 아침식사를 해야 집중력을 높여준다.
② 아침식사는 두뇌 활동을 왕성하게 도와주는 힘을 준다.
③ 시험 보는 날도 아침 식사를 해야 실력 발휘가 된다.
④ 아침식사를 거르면 학습 능률이 떨어진다.
7. 식사는 부족하게 해야 한다
배부르게 식사하면 졸리다.
산소가 많은 신선한 피가 두뇌로 가지 않고 위장으로 가기 때문이다.
식사는 배부르다는 느낌이 오기 전 80%에서 멈춰야 한다.
공부하는 배부르게 먹기보다는 고른 영양 섭취를 해야 한다.
'절제 없는 성공'은 사전에도 없고 인터넷에서도 안 뜬다.
출처: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Vltt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필기 하나만 잘해도 성적이 오른다] (0) | 2015.11.27 |
---|---|
[공부잘하는 방법 - SQ3R 독서법] (0) | 2015.11.27 |
[기말고사 효율을 높이는 기말고사 공부법] (0) | 2015.11.27 |
[게임처럼 공부를 잘 하는 방법] (0) | 2015.11.26 |
[과목별로 중요시 여겨야 되는 부분들] (0) | 2015.11.26 |